강렬한 푸른색과 붉은색으로 된 황소 두마리가 인상적인 레드불이나, 삼지창을 거꾸로 세워놓은 듯한 강렬한 색상의 몬스터 에너지 등
무더운 여름철, 톡 쏘는 탄산음료 못지않게 에너지 드링크 음료의 인기도 대단하다.
에너지 드링크를 마셔본 사람은 알겠지만, 이 맛이 참 오묘하다. 꽤나 중독성있다. (나 또한 그 맛이 좋아 몇번 마셔본 경험이 있다.)
그러나 이 에너지 드링크의 부작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면…?
어떤 부작용이 있을까?
뇌신경계에 심각한 부작용 초래
에너지 드링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탄산음료는 중독성이 강한데, 이런 음료수를 마시지 않으면 두통을 느끼거나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특히 카페인을 섭취하면 행복호르몬이라고 하는 도파민이 분비된다. 도파민이 분비되므로 기분은 좋다. 그러나 문제는, 카페인을 마실수록 뇌는 거기에 적응하여 도파민을 통해 얻는 행복감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결국, 행복을 느끼기 위해 더 많은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과거 코카콜라에도 코카인이라는 마약성분이 함유되어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물론 지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치아 건강에 악영향
과거 한 실험에서 치아를 탄산음료에 넣으니 치아가 녹아내렸다고 한다. 에너지 드링크와 같은 탄산음료는 대부분이 산성을 띄는데, 이것이 치아 변색, 치아 약화, 충치를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음료에는 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마실수록 칼슘이 빠져나가 골다공증의 원인이 된다.
비만을 유발
탄산음료가 다이어트에 가장 심한 적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칼로리가 생각이상으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하루 몇캔만 마셔도 하루 당 섭취량을 훌쩍 뛰어넘는다.
간혹, 칼로리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제로콜라 등 칼로리가 없는 음료수를 마시기도 한다. 그런데 나는 제로칼로리에 다소 회의적인 입장이다. 제로칼로리라는 말은 우리 몸에서 해당 물질을 소화, 흡수시키지 못한다는 것인데,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못 쓰이는 것이다. 바로 소변 등으로 빠져나가면 다행이지만,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된다면 어떤 문제를 일으킬까...?
제2형 당뇨 유발
비만을 유발한다는 말은 당 섭취가 많기 때문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제2형 당뇨를 유발할 가능성도 높아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력감과 피로감 유발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 권장하는 하루 당분 섭취량은 50g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에너지 드링크 한캔(250ml)에는 약 29g 정도의 당이 함유되어 있다. 두잔만 마셔도 하루 당 섭취량을 넘기기 일쑤다.
문제는, 당분이 다량 함유된 음료를 마시면 체내 혈당이 급격히 상승했다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심한 무력감과 피로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일명, Sugar Crash(슈거 크래시)라고 하는 증상인데, 무력감과 피로감을 유발하면서, 심할 경우 불안감,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불면증 유발
에너지 드링크에는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불면증을 유발한다. 보통, 밤새 공부를 하기 위해서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게 되는데, 그 순간은 정신이 멀쩡하고, 집중이 잘되는 듯하지만, 그 다음날에는 하루 종일 피곤하다. 결국 하루종일 자게 되고, 밤에는 잠을 못자고... 불면증을 유발하기 딱 좋은 환경이다.
에너지 드링크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은?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히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에너지 드링크에 중독되어 있다면, 그 양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이 좋다. 하루에 1잔 마셨다면, 이틀에 한잔을 마시거나, 하루에 반잔으로 줄이면서 그 양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것이다.
갑자기 끊을 경우, 금단현상까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수제청 등의 달달한 음료수를 구비해두는 것이 어떨까?
나 또한, 갑자기 날씨가 더워져서 탄산음료가 땡기기도 하지만, 와이프가 만들어준 레몬 수제청이 있어서, 수제청을 마시면서 버티고 있다.
톡 쏘는 청량감을 원한다면, 마트에서 탄산수를 사서 섞어 마시면 레몬맛이 나는 탄산음료수가 되는 것이다!
2021.07.12 - [주부/요리 레시피] - (껍질 없는) 초간단 수제 레몬청 만들기 : 시원하게 레몬에이드로 먹어요.
'건강 >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음료, 어디까지 알고 있나? (3) | 2021.07.14 |
---|---|
음료수로 수분보충을 하면 안되는 이유 (12) | 2021.07.12 |
여름 감기는 개도 안걸린다는데, 내가 걸린다고?!(feat.냉방병) (5) | 202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