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ower를 이용해서 회귀분석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하려고 이 글을 작성한다.
(해당 내용은 통계 지원실에서 들었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으로, 내게 필요한 부분만 물어보면서 진행했던 부분이라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지난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내가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맥이라서 맥용 g-power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Linear multiple regression : Fixed model, R^2 deviation from zero
좌측 상단의 Test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처럼 보인다.
Tests - Correlation and regression - Linear multiple regression : Fixed model, R^2 deviation from zero를 클릭한다.
Effect size f^2
해당 부분은 임의로 입력할 수 없고, 선행연구 논문을 통해서 입력을 해야 한다. 우선 좌측의 Determine을 누른다.
Determine을 누르면 위의 이미지 가장 왼쪽과 같이 표시된다.
From correlation coefficient와 From predictor correlations 2개가 있는데, 위의 것을 클릭한다.
여기서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p^2 값은 선행 논문에서 찾아야 하는데, 자신이 찾은 선행연구 논문에서 회귀분석에 대한 결과가 있다면 회귀분석 결과 내에서 r2값(결정계수)을 찾아서 입력하면 된다.
모두 입력을 마쳤다면 하단의 Calculate를 누르면 Effect size f^2가 자동으로 입력이 되고, 그다음에 Calculate and transfer to main window를 누르면 Determine 옆의 Effect size f^2가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Number of predictors 입력
number of predictors 값도 입력을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독립변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인이 하고자 하는 연구의 독립변수가 1개면 1을, 10개면 10을 입력하면 된다.
통계 지원실에서 컨설팅을 받았는데, 완전히 새로운 분야다.. 학부 때나 복수전공 때 통계 수업을 듣긴 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수박 겉핥기 정도의 수업이었던 것 같다. 실습 관련 교재를 사서 계속 공부를 해야겠다.
그리고 이 부분만 수정을 하면 이제 IRB에 심사를 받는 일만 남았다. 문제는 IRB 심사를 받는 데만도 시간이 꽤나 걸린다는 것이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한 달 정도 소요된다고 하니.. 잘 작성하고 기다리는 수밖에.. 기다리다가 수정 요청사항이 오면 또 바로 수정을 해야겠다..
IRB 승인을 받으면 또 다른 것들이 기다리고 있겠지만, 우선은 여기에 집중해야겠다.
블로그 추천글
2021.06.02 - [일상] - G-power 이용방법 정리
G-power 이용방법 정리
G-power 사용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전에 이야기한다. 현재 나는 회사를 다니면서 석사를 같
heosonglife.tistory.com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번가와 아마존이 손을 잡다! (feat.우주패스) (3) | 2021.08.31 |
---|---|
말 많은 쏘카-타다 패스포트... 그래도 이득이겠지...? (5) | 2021.07.28 |
폭염, 언제까지? (feat.열섬효과, 전기부족현상) (10) | 2021.07.25 |